금값 정보
美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치 부합 발표에 12월 금리 인하 기대감 높아지며 국제금값(XAU/USD) 2,720$/T.oz선 돌파
☞한국금거래소-美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예상치 '부합' 발표에 12월 금리 인하 기대감 높아지며 국제금값(XAU/USD) 2,720$/T.oz선 '돌파'
▷ 美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3%를 기록하고 10월 0.2%보다 '상승' 월스트리트저널(WSJ) 예상치 0.3% '부합' 전년 대비 2.7%를 기록하고 10월 2.6%보다 '상승' 월스트리트저널(WSJ) 예상치 2.7% '부합', 식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11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3%를 기록하고 10월 0.3% '부합' 월스트리트저널(WSJ) 예상치 0.3% '부합'
전년 대비 3.3%를 기록하고 10월 3.3% '부합' 월스트리트저널(WSJ) 예상치 3.3% '부합'
○ 항목별로는 식료품 11월 0.4%를 기록하고 10월 0.2%보다 '상승', 주거비는 11월 0.3%를 기록하고 10월 0.4%보다 '하락', 중고차 11월 2.0%를 기록하고 10월 0.7%보다 '하락', OER(자가 주거비) 11월 0.2%를 기록하고 10월 0.4%보다 '하락'
○ 헤드라인 CPI와 근원 CPI의 상승률은 모두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고 근원 CPI는 4개월 연속 전월비 동일 한 수치를 기록하며,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으로 거론되는 임대료 상승률이 '21년 7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한 주택과 서비스 부문의 물가 상승세 둔화를 고려하면, 향후 연준이 점진적 금리 인하를 시행하기에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시카고 상품거래소 CME이 FedWatch Tool은 12월 금리 인하 확률을 94.9%로 제시하며 금리 인하 기대감 높이며 금값 상승을 견인
▷ 美 CPI의 상승률이 모두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며 시카고 상품거래소 (CME Group)의 페드워치(FedWatch) 툴에 따르면 美 연준이 오는 12월에 0.25% 기준 금리 인하 확률을 94.9%로 반영했지만, 2025년 1월 동결 가능성은 79.9%를 기록하고 전일 대비 7.6% 포인트 상승하며 美 국채금리 상승을 견인
▷ 캐나다은행은 통화정책 회의를 열어 기준 금리를 '빅 컷'을 단행하며, 3.75%에서 3.25%로 0.5%포인트(빅 컷) 인하하고, 캐나다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는 지난 6월, 7월, 9월. 10월에 이어 이번이 5번째 인하하고 10월에 이어 이달까지 두 번 연속 0.5% 인하하며 달러 가치 상승을 견인
▷ 일본 엔화는 일본은행(BOJ)의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 속에 달러 대비 소폭 하락하며 달러 가치 상승을 견인
▷ 골드만삭스의 분석가들은 중국 중앙은행이 "중국의 통화가 약세를 보이는 기간 동안 통화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금 수요를 늘릴 수도 있다"라고 지적하며 금값 상승을 전망
▷ 달러 가치 '상승' 美 국채금리 '상승' 국제금값(XAU/USD) 전일 대비 '상승'
○ 美 국채금리 벤치마크인 10년물은 4.274%를 기록하고 전일 대비 5.20.bp '상승', 통화정책을 반영하는 2년물은 4.159%를 기록하고 전일 대비 0.80bp '상승' 최 장기 30년물은 4.479%를 기록하고 전일 대비 7.20bp '상승' 10년물과 2년물 금리 차이는 전날의 7.1bp에서 11.5bp로 확대
○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106.695를 기록하고 이전 대비 0.271% '상승'
○ 국제금값 전일 대비 '상승'하며 국제금값(XAU/USD) 2,720$/T.oz선 '돌파'
○ 금값은 美 11월 생산자물가(PPI), 12월 1주차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ECB 통화정책회의 발표 주목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
번호 | 제목 | 날짜 | 작성자 | 조회 |
---|---|---|---|---|
183 | 美 트럼프는 취임 첫날 관세 부과 위협을 시사에 달러 ... | 2025.01.22 | 순금나라 | 45 |
182 | 美 트럼프의 취임 첫날 신규 관세 조치를 언급하지 않으... | 2025.01.21 | 순금나라 | 81 |
181 | 美 트럼프 정부 출범을 하루 앞두고 정책 완화전략 변화... | 2025.01.20 | 순금나라 | 76 |
180 | 美 연준 월러 이사의 비둘기 발언에 금리 인하 기대감이... | 2025.01.17 | 순금나라 | 153 |
179 | 美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 둔화 발표에 美 연준의... | 2025.01.16 | 순금나라 | 107 |
178 |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둔화하며 달러 가치 하락에 국... | 2025.01.15 | 순금나라 | 122 |
177 | 美의 예상보다 강한 고용지표 발표에 달러 가치 상승에도... | 2025.01.13 | 순금나라 | 176 |
176 | 美 트럼프의 정책 불확실성에 인플레이션 우려감 증가되며... | 2025.01.10 | 순금나라 | 200 |
175 | 美 트럼프의 관세 정책 불안감이 고조되며 국제금값 전일... | 2025.01.09 | 순금나라 | 188 |
174 | 중국 중앙은행의 금 매수 재개 소식에 국제금값 전일 대... | 2025.01.08 | 순금나라 | 174 |
173 | 美 인플레이션 재가열 우려감 고조에 美 10년물 국채금... | 2025.01.07 | 순금나라 | 123 |
172 | 美 연준의 매파적인 금리 인하 속도 조절 우려가 다시 ... | 2025.01.06 | 순금나라 | 125 |
171 | 트럼프 정책의 인플레이션 재확산 전망과 지정학적 긴장감... | 2025.01.03 | 순금나라 | 182 |
170 |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금값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 | 2025.01.02 | 순금나라 | 190 |
169 | 2025년 상반기 국제금값 온스당 2,500$~2,70... | 2024.12.31 | 순금나라 | 214 |